728x90

부캐/리눅스 6

CentOS, Redhat 네트워크 설정 및 버전별 서비스 재 시작 방법

OS 설치 후 네트워크를 설치 시에 구성하지 못했다면, 설치 후 설정을 구성해줘야 할 것이다. 오늘은 CentOS, Redhat에서 네트워크 수정 및 적용(재시작) 하는 방법을 알아보겠다. 네트워크 유형 확인 먼저 자신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이름을 확인한다. ip addr 혹은 ifconfig 네트워크 설정 위 명령어로 인터페이스 이름을 알게 되면, 명령창에 아래와 같이 명령어를 입력한다.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 네트워크 재시작 CentOS 6 까지는 # service network restart CentOS 7 에서는 # systemctl restart network CentOS 8 에서는 # systemctl restart NetworkManager...

부캐/리눅스 2022.11.23

Redhat8.x minimal install 이후 yum install 실패해결방법(+subscription Management)

Face to Error for use subscription-manager Redhat8.x 설치 후 yum install 명령어 실행 시 아래와 같은 에러를 발견했다. minimal 설치 후에 repository를 설정해줘야 하나 하고 에러를 살펴봤더니 subscription manager에 시스템을 등록해줘야 한다고 했다. [ERROR] yum:75709:MainThread @logutil.py:194 - [Errno 13] Permission denied: '/var/log/rhsm/rhsm.log' - Further logging output will be written to stderr Not root, Subscription Management repositories not updated T..

부캐/리눅스 2022.11.21

Redhat8.x 디스크 수동설정 (+파티션을 어떻게 나눌지 모를때)

Redhat 8.x 설치 시 참고할 사항을 백업해보려고 한다. 일단 기본적인 설치는 하단 페이지를 참고하고 그 외 Redhat 8.x에서 초보자도 설정할 수 있는 디스크 설정 방법을 기록해보겠다. https://www.dell.com/support/kbdoc/ko-kr/000179556/how-to-install-red-hat-enterprise-linux-8-x 디스크 설정 기본적으로 자동세팅을 하면되지만, 구동할 스펙에 따라 디스크를 수동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Disk> Storage에서 Configure을 선택 후 Done을 클릭하여 수동 설정 화면으로 이동한다. 마운트 포인트를 추가하는 화면에서 좌상단에 Click here to create them automatically를 클릭한다. 이렇게..

부캐/리눅스 2022.11.21

[리눅스] Failed to open/create the internal network 'HostInterfaceNetworking-VirtualBox Host-Only Ethernet Adapter' 에러 해결

에러 발견: Failed to open/create the internal network 'HostInterfaceNetworking-VirtualBox Host-Only Ethernet Adapter' (VERR_INTNET_FLT_IF_NOT_FOUND). Failed to attach the network LUN (VERR_INTNET_FLT_IF_NOT_FOUND). VM Virtual 이미지를 실행하는데 위와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 해결방법: 1. 설정> 호스트 네트워크 관리자 클릭 2. 좌측 '만들기(C)' 클릭 기존에 만들었던 Adapter를 두고 새로운 Adapter를 생성한다. DHCP 서버 사용함 체크 3. 적용 버튼 클릭 4. 처음 Viutual Box 화면에서 해당 OS 선택후 설정..

부캐/리눅스 2022.08.10

CentOS 7 설치 후 디스크 확장 변경 (중에 만나는 각종 에러 해결)

# 리눅스 초보자가 centos설치하고 난항을 겪었던 시간순서대로 기록했다. 문제 발견 Docker image를 받다가 아래와 같은 에러를 발견 했다. Error processing tar file(exit status 1): write /d7a069dfd4355bf58d2c1d05b4d54389e515a447f5895ba7cf6847ddc0142319/layer.tar: no space left on device 일단 용량이 없다는 에러로, 디스크 용량 사용량 여부를 확인했다. # df-TH Use%가 꼭 100%가 아니더라도 내가 내려받을 파일보다 Avail 용량이 적다면 위와 같은 에러가 발생한다. 나같은 경우는 / root 경로에 초기세팅인 50G 밖에 설정이 되어있지않아서 문제였다. 디스크 재설..

부캐/리눅스 2022.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