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부캐/CSP 2

EC2 의 퍼블릭IP를 고정 시키는 방법(탄력적IP 부여하기)

클라우드 인스턴스들은 실행 중인 상태이면 계속 과금이 되는터라, 상시 운영이 필요하지 않은 인스턴스들은 일시 정지를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인스턴스를 다시 재부팅하게 되면 몇 가지 변동사항이 생긴다. 퍼블릭 IPv4 주소가 변동된다. mount 설정이 초기화된다. (Redhat인 경우) kubelet이 loaded(dead)상태가 된다. 위와 같은 매번 환경세팅을 해줘야 하는 불편함이 있기에, 아래와 같은 설정이 필요하다. 이번 페이지에서는 EC2의 퍼블릭 IP를 고정시키는는 방법에 대해 작성했다. 탄력적 IP 설정 탄력적 IP를 설정하게되면 인스턴스가 재부팅되어도 퍼블릭 IPv4 주소가 변경되지 않고 고정 IP를 사용할 수 있다. 하단의 그림처럼 EC2 페이지에서 좌측 네트워크 및 보안> 탄력적 IP..

부캐/CSP 2022.04.28

[AWS] EC2 인스턴스 생성하기

하던일이 변경되어 AWS 를 처음접한 상황으로, 각 상세한 사항들은 다음으로 미뤄두고 AWS EC2 를 생성하는 작업을 기록해본다. 상세한 작업들은 추후에 정리하기로한다. AWS EC2 생성 1. https://aws.amazon.com/ko/ 에 접속한다. 2. 콘솔에 로그인(계정이 없는경우 생성후 접속)한다. 3. 루트 사용자 선택 상태에서 루트 사용자 이메일 주소 입력란에 이메일 주소 입력한다. 4. 다음 버튼 클릭한다. 5. 성공적으로 접속 후 대메뉴인 서비스 > 컴퓨팅 > EC2 를 클릭한다. 6. 인스턴스 시작 버튼 클릭한다. 7. 인스턴스의 이름으로 지정할 값을 이름란에 입력한다. 8. 원하는 환경 선택을 하면 되는데 아래에서 만족할 AMI가 보이지 않는다면 '더 많은 AMI 찾아보기'를 클..

부캐/CSP 2022.04.15